예금의 정의 상식들 - 금리 비교/차이, 예금 보호 공사

펀치 히어로
v1.3.5 - 최신버전
미러1
http://my.pcloud.com/publink/show?code=XZcNekZ4JCSGib0cgQfvYNzuCWBzj68seKk
미러2
http://copy.com/d1z4WQXWeQ499H0A?download=1
http://copy.com/d1z4WQXWeQ499H0A

v1.3.0 - 구버전
미러1
http://copy.com/qpQkLME1mCoP?download=1
http://copy.com/qpQkLME1mCoP
미러2
http://goo.gl/2wJe5v

- - - - - - - - - - - - - - - - - - - - - - -
함께 배워요 기본 상식! - 예금
- - - - - - - - - - - - - - - - - - - - - - - 
은행예금을 분류하는 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그 예치기간의 장단에 의한 것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당좌예금, 보통예금, 정기예금 등이 있다. 당좌예금은 영국의 current account, 또는 demand deposit에 해당되며 상공업자 등이 영업용의 현금 및 일시적 여유금을 예치하는 것으로서, 수표에 의한 대체가 허용되며 출입의 빈번도가 가장 큰 것이다. 예금통화라고 할 때에는 이 당좌예금을 지칭하는 것이 보통이다. 보통예금이라 함은 저소득자 또는 중소기업자가 일시적인 여유자금 또는 영업용현금을 맡기는 예금이다. 정기예금은 대개 영국의 deposit account 또는 미국의 time deposit 에 해당하고 일정 금액을 일정 기간 예치하는 예금이다. 영 · 미의 정기예금의 대부분은 형식적인 면에서 오히려 우리나라의 통지예금에 해당하고 인출 이전에 일정 기간의 예고를 요하는 예금에 불과하다. 또 정기적금도 정기예금의 일종으로 일정 계약기간 중에 매월 또는 몇 해에 걸쳐 일정액을 적립하는 것이다. 이상 몇 개의 예금 중에서 당좌예금, 보통예금과 같이 요구에 응하여 즉시 지불되는 예금을 요구불예금(demand deposit)이라고 한다.

예금분류법으로서 주목하여야 할 다른 방법은 케인즈(Keynes, J.M.)가 「화폐론」에서 말한 분류법이다. 케인즈에 의하면 선진자본주의국의 전통화유통량의 90% 정도가 예금통화의 이전에 의한 은행 간의 예금의 대체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은행 예금이 화폐일반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사회에 존재하는 화폐는 모두가 어떤 동기로부터 그 사회의 사람들에게 보유되고 있다. 따라서 화폐 또는 그것을 대표하는 은행예금은 그것이 사람들에게 어떤 종류의 화폐수요에 대응하고 있는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케인즈는 이러한 관점에서 은행예금을 소득예금(income-deposit), 영업예금(business-deposit), 저축예금(saving-deposit)의 3종으로 분류하였다. 즉 소비지출을 마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소득예금이며, 기업가가 영업상의 지출을 위해 보유하는 것이 영업예금이며 소유자가 저축보장의 목적으로 수중에 보유하고 있는 것이 저축예금이다.

 
Toggle Foot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