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팽히 죄다, 긴장으로부터 비롯된 단어로 스트레스라 합니다.

로보캅
[apk+데이터파일]
//구글드라이브//
(모바일 또는 PC에서 접속가능하며 빠른편임)
http://goo.gl/vPfXtF

//바이두클라우드//
http://pan.baidu.com/s/1qWjUOU...

//DPK 링크//
(확장자가 *.DPK인 경우 *.ZIP으로 변경해주세요 (ex: 12.dpk > 12.zip)
http://pan.baidu.com/s/1qWltt4...


- - - - - - - - - - - - - - - - - - - - - - -
함께 배워요 기본 상식!
- - - - - - - - - - - - - - - - - - - - - - - 
스트레스라는 개념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백 년도 채 되지 않았다. 스트레스는 라틴어인 ‘stringer(팽팽히 죄다, 긴장)’로부터 비롯된 단어로, 이 용어가 학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곳은 물리학∙공학 분야였다.
미국의 생리학자 캐논(Canon)은 생명체의 생존을 위한 시스템을 연구하면서 스트레스라는 단어를 생리학적으로 사용했다. 그는 생명체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생존수단으로 투쟁-도피 반응(fight-flight response)을 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이 때 일어나는 생리적 균형(homeostasis)을 규명했다. 이후 1936년 캐나다의 학자 한스 셀리(Hans Selye)가 스트레스에 대해 ‘개인에게 의미있는 것으로 지각되는 외적, 내적 자극’이라고 정의함으로써 지금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렇듯 학술적 정의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스트레스는 생명체가 외부의 환경이나 내부의 변화에 즉각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싸울지 도망갈지를 빨리 결정하게 하는, 그야말로 객관적인 ‘생존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이 잘 작동할수록 우리는 응급상황에 잘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사막을 걷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갑자기 부스럭거리는 소리가 나면서 길쭉한 물체가 사사삭 하고 나타나는 것을 느꼈다. 이때 몸은 바로 긴장을 하면서 심박수가 늘어나고, 호흡과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조그마한 소리나 촉각에도 매우 민감해질 것이다.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우리 몸은 ‘위험한 일이 벌어졌다’고 여기고 전투와 방어 태세를 갖추는 것이다. 게다가 영점 몇 초의 짧은 순간 안에 ‘싸울까 도망갈까(fight or flight)'를 결정해야 한다. 만일 그게 그저 바람에 흩날린 나뭇가지였다면 바로 경계태세를 풀겠지만, 방울뱀이었다면 뒤로 줄행랑을 쳐야 한다. 이때 조금만 민첩하지 않으면 바로 생명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스 트레스 반응은 이렇듯 위험한 상황에 우리의 생존을 돕기 위한 본능적인 반응이다. 반대로 옛 선조들이 먹이를 사냥할 때도 이 같은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나서 효과적인 사냥을 돕는다. 결국 스트레스란 인간이 환경에 더 잘 적응하고 변화하기 위한 기능의 하나인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스트레스란? - 우리 몸에 내재된 생존 시스템 (정신이 건강해야 삶이 행복합니다, HIDOC)

 
Toggle Footer
TOP